1. 선정 이유
핀테크 시장 발달에 따라, 간편 결제 시장의 규모는 날이 갈수록 성장하는 추세이다.
국내 온라인 결제 시장에서는 네이버페이가 28.1%, 카카오페이가 19.6%를 기록하며 강세를 보인다. (출처 : 여성경제신문(https://www.womaneconomy.co.kr)
따라서 업계 1,2위 서비스를 내가 자주 사용하는 온라인 결제 및 송금 기능과 관련하여 비교해보고자 한다.
(두 서비스 모두 앱을 실행하지 않더라도 사용가능하지만, 여기서는 네이버페이앱, 카카오페이앱에서 각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2. 사용자 경험(UX) 및 접근성
✅ 하단 UI 기준 비교
각 서비스를 홈 화면 기준으로 캡처했다.
네이버페이 | 홈(결제) | 혜택 | 자산/송금 | 증권 | 부동산 | |
카카오페이 | 홈 | 결제 | 혜택 | 자산 | 증권 |
카테고리(탭) 비교
두 서비스 다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고, 기능이 포함된 탭에만 차이가 있었다.
홈 화면의 경우, 네이버페이는 홈 화면에서 결제를 한다. 카카오페이 홈 화면은 모든 서비스를 한번에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부동산 기능은 네이버페이는 탭으로 분리해놓았지만, 카카오페이는 자산 탭에서 부동산 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
초기 화면 진입 비교
- 네이버페이: 사용자가 초기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 카카오페이: 사용자가 직전에 머물렀던 탭이 재접속 시에도 그대로 유지된다.
✅ 전체 UI 특징 비교
- 네이버페이 : 네이버 서비스(네이버 쇼핑, 스마트스토어)와 강하게 연동되어 있다. -> 네이버 쇼핑 중심의 온라인 쇼핑 경험을 최적화한 인터페이스
- 카카오페이: 결제뿐만 아니라 송금, 투자, 멤버십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자연스럽게 연결한다. -> 카카오톡 내에서 결제·송금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흐름을 유도
3. 기능 단위 분석
✅ 온라인 결제
네이버페이
🛒 사용자 시나리오 (예: 네이버페이 쇼핑에서 결제)
- 네이버페이 앱 실행
- 쇼핑 탭에서 상품 검색 및 선택
- [N페이 결제] 버튼 클릭
- 결제 수단 선택 (네이버페이 머니, 카드, 포인트 등)
- 비밀번호 또는 생체 인증 진행
- 결제 완료
📌 특징
- 🍀 네이버 자체 생태계 내 쇼핑몰과 연계 최적화 (스마트스토어 등)
- 🍀 포인트 적립 및 활용 가능 → 사용자 락인 효과
- ❌ 쇼핑 기능 중심 → 송금, 청구서 등의 결제 기능은 부족
카카오페이
💰 사용자 시나리오 (예: 카카오페이 청구서 결제)
- 카카오페이 앱 실행
- 우측 [메뉴] 햄버거 버튼 -> [청구서] 버튼 에서 납부해야 할 청구서 선택
- 결제 수단 선택 (카카오페이 머니, 카드 등)
- 비밀번호 또는 생체 인증 진행
- 결제 완료
📌 특징
- 🍀 청구서 납부, 송금, 멤버십 등 다양한 결제 기능 포함
- 🍀 카카오톡과 연계된 금융 서비스 활용 가능
- ❌ 쇼핑 기능 부족 → 물건 구매보다 금융 서비스 중심
- ❌ 네이버페이 대비 포인트 적립 혜택이 적음
✅ 송금
네이버페이의 송금 UI는 카카오페이에서보다 불편했다.
앱 내에서 새로운 화면이 열리면 계좌번호를 입력하거나 QR코드를 통해 송금할 수 있다.
네이버페이에서는 송금 기능이 중심 기능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카카오페이는 '친구 간 송금' UX를 최적화했다.
3. 인사이트 도출
✅ 네이버페이 앱: 쇼핑에 최적화된 결제 경험 제공
- 네이버 쇼핑(스마트스토어)과 연결되어 쉽게 결제 가능
- 포인트 적립으로 쇼핑 사용자 락인 효과 있음
- 그러나 쇼핑 외 결제(청구서 납부 등) 기능이 약함
✅ 카카오페이 앱: 금융 및 다양한 결제 경험 제공
- 송금, 청구서 납부, 멤버십 활용 등 종합적인 결제 서비스 제공
- 그러나 쇼핑 기능이 부족하여 직접 상품을 구매하는 경험은 미흡
💡 결론
- 쇼핑 중심 사용자 → 네이버페이 앱 사용이 유리
- 다양한 금융 서비스(송금, 청구서) 중심 사용자 → 카카오페이 앱 사용이 유리
'서비스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벤치마킹]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2) | 2025.03.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