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기획

[서비스 벤치마킹]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by daami 2025. 3. 20.

1. 서비스 개요

1) 정의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는 내 잔고 중 쓰지 않을 돈 일부를 모아 둬서, 이체나 출금이 되지 않게 하는 서비스이다. 다른 은행들도 이와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포괄적으로 '파킹 통장' 서비스라 부른다. 대부분의 파킹 통장 서비스들은 파킹 통장용으로 별도의 계좌를 개설해야하지만, 세이프박스는 개설된 일반 입출금 계좌 내에서 세이프박스라는 구역을 만들어 돈을 옮기는 개념이다.

파킹통장 개념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핵심 가치는 여유 자금 쉽게 보관하고, 언제든지 꺼내기 이다.

이자를 제공하며, 여유 자금을 분리 보관하고, 간편하게 계좌로 이동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상품안내 페이지

 

2) 선택 이유

나는 평소에 카카오뱅크를 자주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간편함'에 있다. 특히 세이프박스는 내가 돈을 많이 쓸 때 경각심을 주기 위해 돈을 잠시 묶어둘 때 쓰곤 한다. 당장 적금에 넣기에는 부담스럽지만, 세이프박스는 필요하면 언제든지 돈을 꺼낼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자까지 주니 안 할 이유가 없다.

 

X(트위터) '세이프박스' 검색 결과
네이버 '세이프박스 사회초년생' 검색 결과

 

 

포털사이트에 세이프박스를 검색해보니 주요 타겟 고객층이 나와 같은 사회초년생들인 걸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세이프박스가 어떻게 사회초년생들에게 핵심 가치를 전달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서비스 분석

1) 인입 경로

 

세이프박스는 홈 화면을 통해 진입할 수 있다.

홈 화면 내에서 카카오뱅크에서 개설한 나의 계좌들을 모두 볼 수 있다. 세이프박스는 입출금계좌 내에 존재하는 기능이므로, 입출금계좌와 함께 표시된다. '세이프박스' 칸을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한다.

 

2) 페이지 구조 

(1) 보관(입금) / 출금 금액을 설정하는 영역

(2) 이자를 즉시 받을 수 있는 영역

(3) 입출금계좌 잔액 정보

(4) 세이프박스 내 입출금,이자 내역을 보는 영역

 

3) 기능/UI 분석

세이프박스 입출금 기능

세이프박스로 돈을 관리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이다.

(1) 우측 슬라이더 활용

 

1️⃣ 세이프박스에 입금을 하고 싶다면, 슬라이더를 위로 드래그한다.

    출금을 하고 싶다면, 슬라이더를 아래로 드래그 한다.

2️⃣ 좌측에 표시된 금액을 보고, 원하는 금액이면 하단의 '확인'버튼을 누른다. 

3️⃣ 금액이 맞는지 확인하고 '예' 버튼을 누른다. 

 

 

입금은 입출금 계좌에 있는 돈에 한해서만 가능하다. 만약 입출금계좌의 잔액을 초과하는 금액을 입금하려 시도하면, 다음과 같이 빨간색으로 경고 문구가 뜬다.

 

 

(2) 직접 금액 입력하기

1️⃣ 세이프박스에 입금을 하고 싶다면, '넣기' 버튼을 누른다.

   출금을 하고 싶다면, '빼기' 버튼을 누른다.

2️⃣ 보관하고 싶은 금액/출금하고 싶은 금액을 입력하고, '예' 버튼을 누른다.

 

세이프박스에 있는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을 입력했을 경우, 다음과 같이 '확인' 버튼이 비활성화되고 '세이프박스의 잔액이 부족합니다.'라는 문구가 뜬다.

 

이자 받기

(1) 버튼을 눌러 즉시 이자받기

'받기' 버튼을 누르고, 이자를 받을지 확인하는 창이 뜬다. 창 하단의 '받기' 버튼을 누르면 이자를 바로 받을 수 있다.

'내역'버튼을 누르면 지금까지 받은 이자를 확인할 수 있다.

 

(2) 정기 이자 입금받기

버튼을 누르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이 정기 이자가 입금된다.

 

3. 인사이트 도출

1) 강점

직관적인 UI로 사용성을 높였다. 슬라이더 방식으로 터치 한 번 만으로 돈을 쉽게 넣고 뺄 수 있다. 사용자가 금액을 입력하는 시간을 줄인 것이다. 

돈 관리가 어려운 사회초년생들에게 알맞다. 얼마든지 쉽게 넣고 뺄 수 있다는 사실은 적금보다 심리적 부담감이 덜하다.

2) 단점

너무 높은 자유도

이자를 통해서 돈을 계속 빼는 걸 방지하려했을까? 하지만 이자가 미미하고, 돈을 빼는 것 또한 너무 편리하기 때문에 돈을 '세이프'하려는 의지가 약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개선방안

- 세이프박스에서 돈을 출금할 때의 UI를 좀 더 불편하게 만들면 어떨까? 그러나 너무 불편하면 세이프박스가 추구하는 핵심가치와 어긋나므로, 조금의 경고 메세지를 추가하는 정도로 불편함을 사소하게 추가해야할 것이다.

- 이자받는 UI를 개선하면 어떨까? 현재 UI는 이자를 받는 페이지로 향하는 버튼이라기보다 화면 중앙의 팝업창처럼 보인다. 긴 문장보다는 버튼 형태의 그림과 '이자' 라는 단어로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 같다. 

'서비스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비교] 네이버페이 vs. 카카오페이  (2) 2025.03.27